수행

다도

에티켓의 미학

다도(茶道)의 세계에서는 차를 만들고 마시는 단순한 행위 안에 있는 모든 움직임과 감각이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도의 목표는 단순히 차를 마시기만 한다면 찾을 수 없는 깨우침과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그러한 세련된 예절도 존재하지만, 일본에서는 수행 예법 또한 발견할 수 있다. 일본의 산은 신들이 기거하는 곳이라 여겨지고, 일본의 많은 유명한 산 봉우리에 절이나 신사가 세워져 있다. 미토쿠산 정상 부근에 자리하고 있는 산부츠지 절을 참배할 때에는 특별한 와라지(짚신)를 신고 등산을 하는 것이 일종의 예절로 여겨질 수 있다. 그저 평상시 신고 다니는 등산화를 신고 산을 오르는 것도 괜찮지만, 와라지 장인이 만든 소박한 샌들을 신는 것이 일본 문화 전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예절에 대한 독특한 감각의 근원을 경험해 보기에 좋은 방법이다.


일본식 예절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전 세계적으로, 말하고, 먹고,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람들이 예의라 여기는 것들에 대한 다양한 예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예의 바르다고 여겨지는 행동들이 어떻게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한 규칙이 있다. 당연히 일본에서도 예의와 예절 간에 유사한 상관 관계가 있다. 그러나 예절에 대한 독립적인 개념도 있다. 그것은 다양한 행동을 행할 때 갖추어야 할 마음가짐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한 마음가짐을 유지함으로써, 사람은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 자연, 심지어는 신과 감각을 공유할 수 있다. 다도를 한번 살펴보자. 영어로 번역하면 “ceremony”(의식)라는 단어가 쓰이는데, 이것은 결코 간단한 의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물을 가져와 끓여서 가루 차를 만드는데 사용하고, 손님들은 그것을 마신다. 이 단순한 행동은 작은 부분으로 나뉘는데, 각각의 행동에 의미가 부여된다. 이러한 행동을 행할 때 가져야 할 태도, 인지해야 할 느낌들이 모두 정해져 있다. 이것을 유지하는 것은 소위 사호(作法)라 불리는 일본식 예절 감각이다. 하이쿠와 가부키, 유도와 스모에서, 이 사호는 단순히 평가되는 결과가 아니다. 그것이 글을 쓰는 작업이든, 공연이든 혹은 승리하는 일이든, 그러한 결과를 이루는 과정 내내 갖게 되는 마음가짐, 즉 예절이 매우 중요하다.


신사와 사찰 같은 종교 시설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예절이 발견된다. 참배를 할 때에 손을 깨끗이 하는 방법이나 절을 하는 방법 등의 세부적인 규칙이 있다. 이러한 규칙에 대해 더 많이 알수록 그것이 얼마나 정교한지 깨닫게 되고, 만약 일본 문화에 관심이 있다면 이것이 아주 매력적인 측면이 될 수 있다. 수행 중인 신관과 승려들은 수련을 하는 동안 일상 생활에서 따라야 하는 많은 예의범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예절을 자젠(좌선) 명상이나 불교의 채식주의 식사를 통해 경험할 수 있다.


짚신을 신고 하는 산행의 예절

 

미토쿠 산을 등산 할 때에는 짚신을 신고 오르는 것을 반드시 시도해 보아야 한다. 이 산은 비밀스러운 불교 승려들의 수행 지역이며, 산 전체가 숭배의 대상이다. 그 자체가 신인 것이다. 이곳에서 하는 수행의 목표는 눈, 귀, 코, 혀, 몸, 뜻의 여섯 가지 인지의 근원을 정화하는 육근청정(六根淸淨)이다. 서양에서 산은 두려움의 대상이며, 그러한 두려움을 물리치기 위해 산을 오른다. 그러나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은 믿음과 경배의 대상이고, 신의 허락을 구하기 위해 산에 오른다. 미토쿠 산을 오를 때에는, 일상 생활을 할 때 신던 신발 대신, 특별히 미토쿠 산 등산용으로 장인이 만든 짚신을 신고 등산을 할 때, 이러한 육근청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짚신은 단순히 옛날 신발인 것이 아니라, 물기 있는 바위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산의 표면을 완전하게 디딜 수 있게 해준다. 다도를 하는 동안 단순히 차 맛을 보기 보다는 차의 느낌을 경험할 수 있듯이, 등산을 하는 동안 짚신을 통해 전달되는 바위와 나무 뿌리에 대한 감각은 마치 산의 허락을 받은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등산을 하면서 자기 자신을 믿고, 그 산을 존중하는 일, 이것이 바로 예절이다. 온몸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 독특한 예절은 오직 이곳 미토쿠 산에서만 발견할 수 있다.


산인 위치산인